겨울이 되면 기온이 떨어지며 날씨가 추워집니다. 추운 날씨 속에서는 자동차가 방전이 될 확률이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겨울철 차량 관리를 필수로 하며 사전에 예방하여야 합니다. 차량이 방전되지 않기 위해 배터리 관리 방법과 교체 주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배터리 상태 체크 방법
차량이 방전되어 시동이 걸리지 않으면 가장 먼저 배터리를 체크해야 합니다. 자동차 보닛을 열고 배터리를 보면 수명을 간단하게 체크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 표면의 투명하고 동그란 구멍의 인디케이터라고 불리는 창을 보게 되면 초록색, 검은색, 흰색 중 하나의 색을 띠고 있습니다. 이때 초록색이면 정상, 검은색이면 충전 필요, 흰색이면 교체 필요를 나타내는 표시라고 확인하시면 됩니다.
배터리 교체 주기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수명은 보통 3~5년 정도입니다. 하지만 블랙박스의 모드 상태에 따라, 휴대폰 충전기 사용 유무, 추운 날씨, 에어컨, 히터 사용 등 운전 습관과 환경에 따라 수명은 점점 짧아지게 됩니다.
교체는 3만~ 5만 km 주행 시 점검을 받는 게 좋으며 차량별, 계절별, 운전 습관별로 배터리 교체 주기가 달라질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배터리 관리 방법
배터리 관리를 잘하면 평균 사용 기간보다 2배 이상의 기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블랙박스가 상시 녹화 모드로 설정되어있으면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니 되도록 운행 종료 후 전원을 꺼 놓는 것이 수명 연장에 좋습니다. 장기간 차량을 운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을 뽑아 놓는 것도 좋습니다. 만약 주차 중에도 녹화가 되길 원하면 보조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자동차는 기온에 민감하기 때문에 야외 주차보다는 실내, 지하 주차장을 이용하시는 게 좋습니다. 배터리 주변에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꾸준히 청소까지 해주면 베스트입니다.
마무리
문제없이 시동이 잘 걸리면 아무 생각이 없지만 갑자기 방전되면 당황스럽고 난감한 상황이 생깁니다. 그러지 않게 평소에 관리 잘하셔서 오랫동안 잘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정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 나이’ 도입시기, 계산 방법 (1) | 2022.12.10 |
---|---|
2023 취학통지서 온라인 신청 발급기간 (0) | 2022.11.27 |
파이썬, c언어, 자바 특징, 장단점 (0) | 2022.11.09 |
직장인 온라인 부업 추천 (0) | 2022.11.06 |
‘이사 손 없는 날’ 의미와 날짜 확인 (0) | 2022.1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