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이야기

‘만 나이’ 도입시기, 계산 방법

by otcll 2022. 12. 10.
반응형

내년부터 우리나라도 '만 나이'로 통일 도입된다고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태어난 때부터 1살이 되는 '세는 나이'를 사용하지만 볍률쪽에서는 '만 나이'를, 병역법 등 일부에서는 '연 나이'를 적용하는 등 나이를 적용하는데 헷갈리는 점이 있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년 6월부터 나이 표시방법을 '만 나이'로 통일한다고 합니다.

 

만 나이? 세는 나이? 연 나이?

 

'만 나이'는 국제 통용 기준으로 본인이 태어난 날 즉, 생일을 기준으로 나이를 계산하는 나이이며, '세는 나이'는 우리나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나이로 한 해를 기준으로 하는 나이입니다. 세는 나이로 적용할 시 12월 31일에 태어난 사람은 다음해 1월 1일이 되면 2살이 되는 것입니다. '연 나이'는 현재 연도에서 출생연도를 뺀 나이로, 태어나면 0살로 보고 해가 바뀔때마다 한 살씩 올려 계산하는 나이입니다. 연나이는 청소년 보호법이나 병역법 등 일부 법률에서만 사용합니다. 

 

만 나이 도입시기

 

국회 법제사법원회에서 12월 7일 오전에 만 나이 사용 관련해서 명확하게 규정한 민법 일부개정볍률안과 행정기본법 일부 개정법률안을 의결했으며,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 공포 6개월 뒤부터 시행한다고 합니다. 간단하게 내년 6월부터 만 나이 사용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만나이 계산하는 법

현재 연도 - 출생 연도 = 만 나이
(생일 지난 여부에 따라 +1)

만나이 계산하는 방법은 간단하게 현재 연도에서 출생 연도를 빼주면 되고, 생일이 지났다면 +1을 해주면 만 나이가 됩니다.

계산하는게 복잡하다면 만나이 계산기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만나이 계산기

만 나이 계산기 클릭

 

출생일을 입력해주고 계산버튼을 누르면 만 나이를 자동으로 계산해서 알려줍니다. 또한 투표가 가능한 나이인지, 운전면허 취득이 가능한지, 아르바이트 및 취업이 가능한지 등 소소한 정보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마무리 

 

만 나이가 적용되면 초기에는 어색하고 적응하는데 시간이 걸리겠지만, 사회적으로는 만나이, 세는나이, 연나이의 세가지 나이 계산법 때문에 혼선을 빚을 일이 없어지고, 개인적으로는 적게는 한살에서 많게는 두살 어려진다고 하니 모두에게 좋은 일인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